알림마당

공공보건의료재단의 주요사항을 알려드립니다.

  • [보도자료] 서울시 총 사망률 10년 사이에 감소, 자치구별 차이도 줄어(한 눈에 보는 서울건강 10년)

    등록일 : 2022-09-14조회수 : 761
  •  

    서울시 총 사망률 10년 사이에 감소, 자치구별 차이도 줄어  

     

    - 재단, 서울시 건강격차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지난 10년간 주요 지표의 변화를 분석한『한 눈에 보는 서울 건강 10년』리포트 발간 

    - (건강결과) 총 사망률은 개선되었으며 자치구간 격차도 감소, 주요 사망원인 중 폐렴사망률만 악화 

    - (중재요인) 현재흡연율·중등도이상 신체활동실천율 개선, 비만율 악화, 고위험음주율 일정 수준 유지하다 2020년에만 개선 보여 

    - (사회구조요인) 총 인구수 감소, 노인인구·1인 가구·기초생활수급자 비율 및 자치구 간 격차 증가 

    - 향후 건강 약자와의 동행 위한 사업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 기대

     

     

    □ 서울특별시공공보건의료재단(대표이사 김창보, 이하 재단)은 서울시 자치구 시민의 사회경제적 수준 및 주요 

    건강문제 파악을 위해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서울시 건강격차 모니터링을 수행해왔다. 

    □ 재단은 그동안 축적된 자료를 기반으로 2010년과 2020년 사이의 건강수준의 변화를 분석하여 『한 눈에 보는 서울 건강 10년』리포트를 발간했다. 

    □ 해당 리포트에서는 총 3개 분야* 17개 지표별 서울시, 자치구 최댓값과 최솟값을 확인 할 수 있다. 

    □ 또한 자치구간 격차 비교를 위해 상대격차와 절대격차 분석 결과를 함께 제시했다.   ○ 3개 분야는 ▲사회구조요인 ▲중재요인 ▲건강결과로 구성된다.

      <활용안내>  
       

     지표별로 제시된 서울시 값을 통해 연도별 평균적 수준에 대해 파악할 수 있으며, 자치구 최댓값과 최솟값을 비교하여 자치구간 격차 규모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 

     - 절대격차: 자치구 최댓값 - 자치구 최솟값

     - 상대격차: 자치구 최댓값 ÷ 자치구 최솟값

     ※ 2010년과 2020년 비교 시 절대격차가 감소한 경우 자치구 간의 격차가 줄어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지표별 단위와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격차의 규모에 대한 해석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1. 건강결과

     □ 건강결과 핵심지표인 총 사망률 개선되었으나 폐렴사망률 악화

     ○ (총 사망률) ’10년 대비 ’19년에 개선되었으며, 자치구간 격차 감소

     - 서울시: 372.6명/십만명(’10) → 272.3명/십만명(’19)으로 개선

     - 자치구간 절대격차: 120.0명/십만명(’10) → 98.2명/십만명(’19)으로 감소

     

     <표1> 2010년 대비 2019년 총사망률 비교

    (단위: 명/십만명)

    구 분

    전체

    남자

    여자

    2010

    2019

    2010

    2019

    2010

    2019

    서울시 전체

    372.6

    272.3

    490.6

    360.3

    254.7

    184.4

    자치구 최댓값

    413.5

    317.0

    541.7

    420.4

    286.6

    215.3

    자치구 최솟값

    293.5

    218.8

    372.3

    275.4

    214.6

    162.1

    절대격차

    120.0

     98.2

    169.4

    145.0

    72.0

    53.2

     

     ○ (폐렴사망률) 5대 사망원인 중 유일하게 악화, 자치구간 격차도 증가

     - 서울시: 10.9명/십만명(’10) → 16.8명/십만명(’19)으로 악화

     - 자치구간 절대격차: 7.4명/십만명(’10) → 9.9명/십만명(’19)으로 증가

     

     <표2> 2010년 대비 2019년 5대 사망원인 변화 

    (단위: 명/십만명)

    구 분

    암사망률

    심장질환사망률

    뇌혈관질환사망률

    자살사망률

    폐렴사망률

    2010

    2019

    2010

    2019

    2010

    2019

    2010

    2019

    2010

    2019

    서울시 전체

    114.1

    87.8

    30.1

    26.9

    36.1

    18.8

    24.9

    19.1

    10.9

    16.8

    자치구 최댓값

    122.0

    96.9

    40.6

    37.3

    42.7

    23.5

    30.5

    22.2

    14.6

    21.4

    자치구 최솟값

    94.1

    72.0

    22.2

    18.4

    26.1

    15.2

    18.6

    15.3

    7.2

    11.5

    절대격차

    27.9

    24.9

    18.4

    18.9

    16.6

    8.3

    11.9

    6.9

    7.4

    9.9

     

     

     

     

    2. 중재요인

     □ 현재흡연율과 중등도이상 신체활동실천율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으나 비만율은 악화, 자치구간 격차는 증가

     ○ (현재흡연율) ’10년 대비 ’20년에 개선되었으나 자치구간 격차는 증가

     - 서울시: 23.6%(’10) → 16.5%(’20)로 개선

     - 자치구간 절대격차: 6.8%p(’10) → 7.9%p(’20)로 증가

     

     ○ (중등도이상 신체활동실천율) 개선되었으나 자치구간 격차는 증가

     - 서울시: 18.5%(’10) → 19.0%(’20)로 개선

     · 소폭 개선으로 보이지만, 지속 개선 중 코로나19 영향으로 ’20년 일시적 악화된 결과임

     - 자치구간 절대격차: 16.3%p(’10) → 18.3%p(’20)로 증가

     

     ○ (비만율) ’10년 대비 악화되면서 자치구간 격차도 증가

     - 서울시: 21.4%(’10) → 28.8%(’20)로 악화

     - 자치구간 절대격차: 10.2%p(’10) → 11.5%p(’20)로 증가

     

     □ 고위험음주율은 2020년에만 일시적 개선

     ○ (고위험음주율) ’20년 일시적 개선되면서 자치구간 격차도 감소 

     - 서울시: 12.0%(’10) → 9.5%(’20)로 개선

     · 지속 개선이 아닌 일정 수준을 유지하다 ’20년 일시적으로 개선 

     · 이러한 변화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와 연관된 것으로 예측됨

     - 자치구간 절대격차: 9.1%p(’10) → 6.7%p(’20)로 감소

     

     <표3> 2010년 대비 2020년 중재요인 지표 변화 요약

    구 분

    현재흡연율

    고위험음주율

    중등도이상 신체활동실천율

    비만율

    2010

    2020

    2010

    2020

    2010

    2020

    2010

    2020

    서울시 전체(%)

    23.6

    16.5

    12.0

    9.5

    18.5

    19.0

    21.4

    28.8

    자치구 최댓값(%)

    26.6

    20.7

    16.7

    12.6

    27.7

    30.6

    26.6

    36.2

    자치구 최솟값(%)

    19.8

    12.8

    7.6

    5.9

    11.4

    12.3

    16.4

    24.7

    절대격차(%p)

    6.8

    7.9

    9.1

    6.7

    16.3

    18.3

    10.2

    11.5

    3. 사회구조요인

     □ 서울시 총 인구수는 감소했지만 취약인구집단(노인 인구, 1인 가구, 기초생활수급자) 비율은 지속 증가

     ○ (총 인구수) 10,312,545명(’10) → 9,668,465명(’20)으로 지속 감소

     ○ 인구수 대비 건강관리에 취약한 노인 인구, 1인 가구, 기초생활수급자 비율의 지속적인 증가에 대한 대비가 절실한 상황임

     - (노인 인구 비율) 9.7%(’10) → 16.1%(’20)로 6.4%p 증가

     - (1인 가구 비율) 24.4%(’10) → 34.9%(’20)로 10.5%p 증가

     -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2.1%(’10) → 3.8%(’20)로 1.7%p 증가

     

    <표4> 2010년 대비 2020년 사회구조요인 지표 변화 요약

    노인 인구 비율(%)

    1인 가구 비율(%)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노인 인구 비율(%) 그래프 (노인 인구 비율) 9.7%(’10) → 16.1%(’20)로 절대격차 5.4%에서 6.7%p로 6.4%p 증가

     

     

    1인 가구 비율(%) 그래프 24.4%(’10) → 34.9%(’20) 절대격차 22.5%p에서 28.1%p로 로 10.5%p 증가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그래프 2.1%(’10) → 3.8%(’20)로 절대격차 3.0%p에서 절대격차 4.8%p로1.7%p 증가

     

     ※ 절대격차: 자치구 최댓값-자치구 최솟값

     

     

     □ 자치구간 취약인구 구성 격차는 더 커진 편

     ○ 인구구조에 따른 자치구간 절대격차는 2010년 대비 대체적으로 증가

     - (노인 인구 비율) 절대격차: 5.4%p(’10) → 6.7%p(’20)로 증가

     - (1인 가구 비율) 절대격차: 22.5%p(’10) → 28.1%p(’20)로 증가

     -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절대격차: 3.0%p(’10) → 4.8%p(’20)로 증가

     

     ○ 자치구별 취약인구의 구성의 차이는 건강 환경 특성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이므로 이를 고려한 정책수립이 필요할 수 있음

     

    □ 재단 김창보 대표이사는 “이번 리포트는 10년간의 서울시 건강 수준의 변화상을 한 눈에 파악 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라며

     “본 자료가 약자와의 동행이라는 서울시 방향에 발맞추어 건강약자를 위한 서울시 사업 계획 수립과 지표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한 눈에 보는 서울 건강 10년(Seoul Health 10 Years at a Glance)』리포트와 지금까지 진행된

    『서울시 건강격차 모니터링』통계집은 재단 홈페이지에서 자료 열람 및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 한 눈에 보는 서울 건강 10년

     http://www.seoulhealth.kr/resources/ebook_seoulhealth/index.html

     

     * 서울시 건강격차 모니터링

     http://www.seoulhealth.kr/Html/business/publication/policy?menuId=47

     

     

    <별첨1>『한 눈에 보는 서울 건강 10년』수록 지표 요약

    #

    분야

    번호

    지표명(기준연도, 단위)

    1

    사회구조요인

    (5개)

    1-1

    총인구수 (2010-2020년, 명)

    1-2

    노인 인구 비율 (2010-2020년, %)

    1-3

    1인 인구 비율 (2010-2020년, %)

    1-4

    기초생활수급자 비율 (2010-2020년, %)
    1-5 재정자주도 (2010-2020년, %)

    2

    중재요인

    (6개)

    2-1 현재흡연율 (2010-2020년, %)

    2-2

    고위험음주율 (2010-2020년, %)

    2-3

    중동도이상 신체활동실천율 (2010-2017, 2019-2020년, %)

    2-4

    비만율 (2010-2020년, %)

    2-5

    1인당 보건예산액 (2010-2020년, 천원/명)

    2-6

    1인당 사회복지예산액 (2010-2020년, 천원/명)

    3

    건강결과

    (6개)*

     

    3-1 총 사망률(2010-2019년, 명/십만명)

    3-2

    암 사망률(2010-2019년, 명/십만명)

    3-3

    심장질환 사망률(2010-2019년, 명/십만명)

    3-4

    뇌혈관질환 사망률(2010-2019년, 명/십만명)

    3-5

    자살 사망률(2010-2019년, 명/십만명)
    3-6 폐렴 사망률(2010-2019년, 명/십만명)

     ※ 2-1~2-4, 3-1~3-6 지표는 표준화율을 적용함

     * 자치구 값은 3년 이동합계 평균율임

     

     

     

     

     

     

     

     

  • 첨부파일

    [보도자료] 서울시 총 사망률 10년 사이에 감소, 자치구별 차이도 줄어(한 눈에 보는 서울건강 10년).hwp